질병과 식사관리 골다공증
 
 
 1. 골다공증의 정의

골다공증이란 골격의 화학적인 성분에는 변화가 없고, 단위용적당 골질량이 감소되는 증상으로 작은 외상에도 요추, 요골 및 대퇴부의 골절을 초래하기 쉬운 질환입니다.
골다공증은 크게 폐경성골다공증노인성골다공증의 2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즉 폐경기 후의 여자에서 에스트로겐의 결핍으로 과도하고 불균형한 소주골(trabecular bone)의 소실이 생기는 폐경기 후의 골다공증과, 대개 70세 이후 남녀 모두에게서 발생할 수 있는 소주골과 피질골(cortical bone)에 생기는 노인성 골다공증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2. 골다공증이 생기는 원인

골다공증의 원인은 다양하며 아직 명확하게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대체로 골다공증의 위험인자로 분류되는 것은 나이, 인종, 성별, 체격, 가계력, 조기폐경, 칼슘섭취의 부족, 운동부족, 담배나 술의 지나친 소비, 특정약제(알루미늄을 함유하는 제산제, 스테로이드, 항경련제 등)의 장기복용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흑인보다는 백인과 아시아인에게서, 몸이 마르고 체구가 적은 사람에게서 골다공증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특히 여성의 경우는 에스트로겐 합성이 저하되는 폐경기 이후에 골질량의 급격한 감소가 시작되어 골다공증의 주된 위험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그 밖에 갑상선항진증, 부갑상선 질환, 위나 장을 절제한 환자 등도 음의 칼슘 균형을 초래하게 되어 골다공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식사 및 생활습관 조사 진단지]

다음 문항의 해당사항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체중 왜소하고 마른편 살이 찐 편 정상 체중
흡연(하루) 한갑 이상 반갑-한갑 거의 피우지 않음
음주 많이 마시는 편 하루 소주 1-2잔 거의 마시지 않음
정신적 스트레스 많은 편 보통 거의 느끼지 못함
우유, 유제품 주 1회 이하 주 2-3회 정도 거의 매일
뼈째 먹는 생선 주 1회 이하 주 2-3회 정도 주 4회 이상
두부 및 콩제품 주 2회 이하 주 3-4회 정도 거의 매일
녹황색 채소, 과일 주 2회 이하 주 3-4회 정도 거의 매일
인스턴트 식품 주 4회 이상 주 2-3회 정도 주 1회 이하
운동량 거의 하지 않음 주 2-3회 정도 거의 매일

 

증가 <----------- 위험도 ------------> 감소



  3. 골질량과 칼슘섭취와의 관계

칼슘섭취량골질량과의 상호관계를 보면 성인기의 최대 골질량에 달할 때까지는 칼슘을 충분히 섭취함으로써 골질량이 증가되며, 최대 골질량을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므로 성인기까지 충분한 칼슘 섭취를 통해 최대 골질량을 형성한 경우에는 노년기의 뼈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중요한 것은 칼슘 섭취보다는 칼슘 흡수량이 골질량과 더욱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입니다. 폐경 후 또는 노년기 여성에 있어서 칼슘흡수율은 저하됩니다. 따라서 칼슘의 체내 흡수율 또는 이용률이 높은 식품의 선택, 칼슘 흡수 촉진인자와 동시에 섭취하는 방법, 일광욕 등은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4. 골다공증의 식사요법은 무엇입니까?

1) 골다공증의 식사원칙

(1) 균형있는 식사를 섭취합니다.
(2) 칼슘이 많은 식품을 섭취합니다.
(3) 과도한 알코올의 섭취를 금합니다.
(4) 음식의 간을 담백하게 합니다.
(5) 커피, 탄산음료 등의 과다한 섭취를 하지 않습니다.
(6) 담배를 금합니다.
(7) 적당한 운동을 규칙적으로 합니다.


2) 골다공증의 식사요인

(1) 칼슘
골다공증의 진행에 있어 칼슘 섭취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적정한 칼슘 섭취가 골질량의 감소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골다공증의 발생 위험이 있는 사람에게는 권장량보다 많은 하루 1000-1500mg의 칼슘 섭취가 바람직한 것으로 제안되고 있습니다.
이 때 칼슘은 식품을 통해 섭취하는 것이 좋으며, 우유나 유제품, 뼈째 먹는 생선은 칼슘의 좋은 급원입니다(표 참조).

(2) 단백질
단백질을 충분하게 섭취하는 것은 최대 골질량의 형성과 유지에 중요하지만, 과잉의 단백질 섭취(권장섭취기준의 2배)는 요 중 칼슘의 과잉 배설을 초래하여 음(-)의 칼슘평형을 나타내므로 칼슘요구량을 증가시킵니다. 이는 단백질에 함유되어있는 함황아미노산의 대사산물인 황산이 칼슘과 염을 형성하여 요를 통하여 배설되기 때문입니다.
동물성 단백질은 식물성 단백질보다 칼슘의 배설효과가 더 크다고 합니다. 따라서 뼈손실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단백질을 권장섭취량 이상으로 과잉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3) 비타민 D
칼슘섭취가 불량할 때는 비타민 D와 함께 섭취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칼슘 흡수율이 감소되는 이유 중의 하나는 비타민 D의 저장량이 감소되었기 때문입니다. 비타민 D는 칼슘흡수와 골격의 석회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데 칼슘흡수시
비타민 D는 활성형으로 전환되고, 이것이 장에서 칼슘흡수를 결정하는 칼슘결합단백질의 합성을 촉진하는 호르몬으로 작용하므로 식품이나 햇빛노출로 인한 비타민 D의 섭취는 칼슘흡수를 증진시키게 됩니다. 프로비타민 D는 자외선에 노출되면 활성형 비타민 D로 전환되지만, 병원에 장기간 입원해 있거나 실내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경우에는 별도의 비타민 D 섭취를 필요로 합니다.

(4) 섬유소
섬유소는 장관 내에서 칼슘의 흡수율을 저하시키는 작용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섬유소 자체뿐 아니라 섬유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식품, 곡류나 채소류 중에는 소장 내에서 칼슘 흡수를 저해하는 피틴산 및 수산 등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칼슘 흡수 저하효과도 문제가 됩니다.
고섬유식에 의해 대변 중 칼슘 배설량은 증가하고 칼슘평형은 음(-)을 나타내므로 뼈손실을 막기 위해서는 식사 중 섬유소의 증가량에 따라 칼슘 섭취량을 증가시켜야 합니다.

(5) 불소(F)
골다공증 발생빈도에 대한 불소 섭취의 영향에 대해서는 잘 규명되어 있지 않지만, 불소 섭취량이 높은 지역에서 골다공증 발생빈도가 낮게 나타났다고 합니다. 하지만 과잉으로 섭취했을 때에는 골연화증, 소화성궤양, 근막염, 관절염 증상의 부작용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6) 기타요인
골다공증과 관련된 기타 요인으로 여러 가지 요인들이 제시되어 왔으나, 그 중에서 체중, 알코올 섭취, 흡연, 카페인 등에 대한 내용이 많습니다. 체중은 골격에 물리적인 힘을 부가하므로 골질량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제시되었습니다.
알코올중독환자에 있어서 뼈의 형성과 골질량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현상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알코올이 직접 골아세포에 작용하여 뼈의 생성을 억제하고 소장에서의 칼슘 흡수를 저해하며 요 중 칼슘 배설량을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흡연 여성은 지방조직이 감소되어 에스트로겐의 생성이 저하됩니다. 이로 인해 흡연 여성의 골절률은 비흡연 여성에 비해 높게 나타납니다. 페인 섭취는 칼슘 흡수량을 감소시키고 배설량은 증가시켜 뼈 손실을 초래하므로 골다공증의 위험요인이 됩니다.

[칼슘 함량이 높은 식품]

식 품 명 100g
(어림치)
칼슘함량
( mg )
우유 1/2컵 100
고형요쿠르트 1/2컵 131
야쿠르트 1/2컵 120
아이스크림(콘) 1스푼 130
치즈 5장 613
순두부 1/2컵 120
두부 1/4모 181
뱅어포 7장 1056
중멸치 1¼컵 1290
물미역(생것)   153
물미역(말린것)   1072
다시마(생것)   103
다시마(말린것)   708
식 품 명 100g
(어림치)
칼슘함량
( mg )
동태 小2토막 233
홍어 小2토막 305
참치 小2토막 235
참게 中1마리 359
대하 4마리 234
꽁치 통조림 2/3컵 277
정어리 통조림 2/3컵 241
깨소금 1컵 1223
고춧잎 생것 2컵 364
무말랭이 불려서 3⅓컵 368
돌나물 익혀서 1/2컵 258
들깻잎 잎넓이 10cm, 40장 215
케일 잎넓이 30cm, 2장 181

 

 

3) 골다공증 식단의 예

1일 1000mg 칼슘 식단 (2000kcal)

음 식 명
칼슘함량(mg)
아 침

토스트 2쪽
크림스프
야채샐러드
(마요네즈소스)
우유 1컵

14
50
22
200
점 심

쌀밥 1공기
미역국
우육호박전
멸치볶음
깻잎찜
배추김치

5
32
16
206
41
32
간 식

요플레

144
저 녁

쌀밥 1공기
콩나물국
두부양념장조림
가자미구이
쑥갓나물
배추 김치

5
22
145
11
55
32
간 식

사과(中) 1개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