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탁의 안전 환경호르몬
 
 
 1) 환경호르몬이란?

환경호르몬이란 환경으로 방출된 화학물질이 생체내로 흡수되어 생체 내에서 호르몬처럼 작용한다고 해서 붙여진 명칭입니다. 환경호르몬은 내분비계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여 호르몬 분비에 변화를 일으키므로 '내분비 교란 물질'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환경호르몬은 다른 독성물질에 비해 매우 낮은 농도에서 영향을 미치며, 먹이사슬을 통해 생체 내에 농축되는데 주로 지방조직에 축적되기도 합니다. 환경호르몬은 성호르몬의 기능에 영향을 주어 생식 능력을 감소시킵니다. 베트남 전쟁에 참전했던 고엽제 피해자 중 일부가 불임이나 성기능 장애를 보이고 있으며, 1995년에는 한 전자부품 공장에서 유기용제인 솔벤트-5200을 취급한 근로자들에게서 생리중단과 같은 집단불임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환경 에스트로젠으로 알려진 DDT에 노출된 여성은 생식기관의 발달이 저해되었으며, 남성의 정우에는 생식력이 감소했다는 연구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 또한 PCB의 노출은 간과 갑상선의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도 보고된 바 있습니다.


 2) 환경호르몬의 예방

캔에 담겨 있는 음료나 식품을 먹지 않습니다.

음식물을 보관하거나 전자레인지로 음식물을 데울 때 플라스틱 용기나 랩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염소계 표백제나 세정제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염소계 표백제로 표백된 흰 종이나 휴지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농약을 과다 사용한 과일, 채소 등은 먹지 않습니다.

내분비계 장애물질은 지방에 축적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육류에 붙어있는 지방조직을 될 수 있으면 제거하고 먹습니다.

생선의 껍질과 지방이 많은 부위는 가능한 먹지 않습니다.

1회용 식품용기의 사용은 가급적 줄입니다.

식품용기, 조리용기는 사용 전 표시사항을 읽고 지시대로 사용합니다.

컵라면 조리시 전자레인지에 직접 넣어 조리하지 않으며, 끓는 물을 부어 10분 이내에 먹습니다.


 3) 환경호르몬의 종류


명 칭

발생원인물질

비스페놀A
다이옥신(dioxin)
폴리염화비닐(PCB; polychlorinated biphenyl)
DDT(Dichloro-Diphenyl-Trichloroethane)
프탈산화합물(DOP, DBP, BBP)
스티렌다이머/스티렌트리머(Styrene Dimer/Trimer)

음식용기나 CD의 재료
쓰레기 소각물질, 제초제, 살균제 등
전기 절연제로써 변압기와 축전기의 냉각제나 단열재
유기염소계 농약(살충제)
합성수지의 가소제
1회용 플라스틱용기(컵라면 용기 등)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