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주위에서 극도로 지나치게 음식의 섭취를 제한하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는 살찌는데 대한
두려움이 주된 원인으로 작용한다. 마른 체형에 대한 지대한 관심이나 체중증가에 대한 극도의 두려움은
섭식장애의 주요인이다.
섭식장애는 거식증, 폭식증, 마구먹기장애를 포함하는 증후군이다. 이는 주로 여성에게서 볼 수
있는 현상으로 청소년기, 20대 등 젊은 여성층에서 늘고 있다. 이에 섭식장애란 무엇인지, 그
증상과 대처 방법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1. 거식증 (신경성 식욕부진, Anorexia Nervosa)
1) 거식증이란? 거식증은 날씬한 몸매에 대한 집착이 매우 극에 달하여 굉장히 수척해질 때까지
굶는 심리적 장애이다. 이들은 이러한 날씬함에 대한 척도가 극도로 왜곡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정서적으로 불안정하고, 우울하며 가족과 친구들로부터 자신을 격리시키려고 한다. 음식을
계속 거부하게 되면 체온과 맥박수의 감소, 빈혈, 혈액내 무기질 대사(칼륨 등)의 이상, 폐경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체중과 체지방이 극도로 감소하여 사망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거식증은 극도로 다이어트를 하는 체조 선수, 모델, 중산층의 사춘기 소녀에게서 주로 발병하며
특히 완벽주의자에게서 발견된다. 다이어트를 하다가 무월경 상태가 3개월 이상 지속되면 이를 한
번쯤 의심해 보아야 한다.
2) 거식증의 증상
(1) 행동면
① 극도의 저체중임에도 불구하고 살이 찔 것을 지나치게 염려하거나 체중에 대한 집착이 강하다.
② 엄격한 다이어트나 단식, 절식 등과 같이 식사 행동에 제한을 둔다.
③ 음식에 대한 두려움이 크다.
④ 체중 감량을 위해 지나치게 운동을 한다.
⑤ 체중 조절을 위해 구토를 하거나 변비약, 이뇨제, 다이어트 식품과 같은 약물을 습관적으로
복용한다.
⑥ 하루에도 몇 번씩 지나치게 자주 체중을 측정한다.
⑦ 음식물의 성분, 칼로리에 지나치게 집착한다.
⑧ 지나친 체중 감소를 감추기 위해 헐렁한 옷을 입는다.
⑨ 공공장소에서 식사하는 데에 대한 두려움이 있다.
(2) 신체적 변화
① 단기간 동안 체중이 현저하게 감소한다.
② 특별한 원인없이 월경이 불규칙해지거나 멈춘다.
③ 얼굴이 창백하다.
④ 추위에 예민해진다.
⑤ 어지러움을 잘 느끼고 쓰러진다.
⑥ 머리카락이 많이 빠진다.
⑦ 두통이 있다.
⑧ 쉽게 피로감을 느낀다.
(3) 태도 변화
① 기분의 변화가 심하다.
② 완벽주의자적인 성향이 강하다.
③ 자신의 능력에 대한 지나친 열등감과 불안감이 있다.
④ 어떤 음식을 먹느냐, 또는 안 먹느냐에 따라 자기 가치관이 좌지우지된다.
⑤ 사람들을 만나려 하지 않는다.
3) 거식증의 영양관리
① 체중 증가를 목표로 식사량을 점진적으로 늘린다. 우선 기초대사량을 유지할 수 있는 체중을
회복하는 것이 필요하며, 1주일에 1kg 체중 증가를 목표로 한다.
② 초기 단계에서는 소화기계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식품을 선택한다. 보충제나 정맥주사, 튜브를
통한 영양공급은 환자로 하여금 의사의 처방이 되어있는 식품으로 생각하게 하여 보다 쉽게 응할
수 있다.
③ 적은 양으로 여러 번 식사한다.
④ 거식증의 경우 칼로리뿐 아니라 무기질, 비타민 등 각종 영양소가 결핍된 상태이다. 따라서
이들 영양소의 공급이 필요하며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도록 한다.
⑤ 탄수화물 위주의 식사를 하고 지질의 섭취를 점차 늘린다.
⑥ 운동, 친구와의 대화, 산책 등은 이러한 식사장애를 극복하는데 도움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