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음식문화 한국의 음식문화
 
 

  4. 상차림과 식사예절


1) 상 차 림

한국음식의 특징에서 말한 바와 같이 우리나라의 식사법은 준비된 모든 음식을 한꺼번에 모두 차려 놓고 먹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식사예절에서는 상차리기가 매우 중요시되고 그만큼 형식도 까다롭습니다. 하지만 식생활양식이 전과 많이 달라진 오늘날에는 옛날의 제반 원칙을 그대로 따를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또 그럴 필요도 없습니다. 다만 옛날의 상차림 원칙을 알아두고 융통성 있게 활용하면 좋으리라 생각됩니다.
여기서 우리 고유의 상차림을 크게 나누어 보면, 차려지는 상의 주식에 따라 반상·면상·주안상 등으로 나눌 수 있고, 또 상차림의 목적에 따라 교자상·돌상·큰상·제상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반상(飯床)

밥을 주식으로 하여 차리는 상을 반상이라 하며, 한사람이 먹도록 차린 반상을 외상 (독상), 두사람이 먹도록 차린 반상을 겸상이라 합니다. 그리고 외상으로 차려진 반상에는 3첩·5첩·12첩이 있는데 여기에서의 첩이란 밥·국·김치·조치·종지(간장·고추장·초고추장 따위)를 제외한 쟁첩(접시)에 담는 반찬의 수를 말합니다. 다시 말해서 가령 12첩 반상이라 하면 밥·국·김치·조치·종지를 제외하고 쟁첩에 담은 반찬의 가짓수가 12개란 뜻입니다.
이러한 반상은 조선왕조시대 궁중이나 반가의 상차림이 그 모체인데 임금의 수라상은 12첩이었 고, 반가의 상은 9첩 반상이 최고였습니다.
반찬의 종류를 정할 때는 재료가 중복되지 않도록 했고 빛깔과 영양도 고려해서 정하였습니다.

※곁상(곁반) :
많은 가짓수의 반찬을 한상 위에 모두 차릴 수 없어 옆에 따로 곁들여 차려놓는 보조상으로서 7첩 반상 이상의 상을 차릴 때는 곁상이 따르게 됩니다.


(2) 면상(麵床)

국수를 주식으로 하여 차리는 상을 면상이라 하며 점심으로 많이 이용합니다. 주식으로는 온면·냉면·떡국·만두국 등이 오르며, 부식으로는 배추김치·나박김치·생채·잡채·전 등이 오릅니다. 주식이 면류이기 때문에 각종 떡류를 곁들여 양을 보충하기도 하며, 이때는 식혜·수정과·화채 중의 한 가지를 놓습니다.

(3) 주안상(酒案床)

이름 그대로 주류를 대접하기 위해서 차리는 상입니다. 당연히 안주가 따라야 하는데, 안주는 술의 종류, 손님의 기호를 고려해야 합니다.
보통 약주를 내는 주안상에는 육포·어포·건어·어란 등의 마른안주와 전이나 편육·찜·신선로·전골·찌개 같은 얼큰한 안주 한두 가지, 그리고 생채류와 김치, 과일 등이 오릅니다.
또 정종류의 주안상에는 전과 편육류, 생채류와 김치류 그 외에 몇 가지 마른안주가 오릅니다. 기호에 따라 얼큰한 고추장찌개나 매운탕·전골·신선로 등과 같이 더운 국물이 있는 음식을 추가하면 좋습니다.

(4) 교 자 상

명절이나 잔치, 또는 회식 때, 많은 사람이 함께 모여 식사를 할 경우 차리는 상입니다.
대개 고급 재료를 사용해서 여러가지 음식을 많이 만들어 대접하려고 하는데, 종류를 지나치게 많이 하는 것보다는 몇 가지 중심이 되는 음식을 특별히 잘 만들고, 이와 조화가 되도록 색채나 재료·조리법·영양 등을 고려하여 몇 가지 다른 음식을 만들어 곁들이는 게 좋은 방법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교자상의 식단을 참고로 들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교자상의 식단〕

① 면(온면·냉면) ② 탕(계탕·어알탕·잡탕) ③ 찜(영계찜·육찜·우설찜) ④ 전유어
⑤ 편육 ⑥ 적 ⑦ 회 ⑧ 겨자채 ⑨ 신선로 ⑩ 김치 ⑪ 장 ⑫ 각색편 ⑬약식 ⑭ 잡과(약과·다식과·다식·강정) ⑮ 정과 숙실과 생실과 마른찬 수란 수정과(시계·화채)

(5) 돌 상

아기가 태어난 지 만 1년이 되는 첫 생일을 축하하기 위하여 차리는 상으로 장수·부귀·다복을 기원하는 뜻에서 그 각각을 상징하는 여러가지 특별한 음식이나 물건을 상에 놓습니다.


〔돌상에 놓는 물건〕

① 쌀 : 식복이 많을 것을 기원하는 뜻.
② 면 : 장수를 기원하는 뜻
③ 대추 : 자손의 번영을 기원하는 뜻.
④ 흰타래실 : 면과 같이 장수를 기원하는 뜻
⑤ 청·홍색 타래실 : 장수와 함께 앞으로 금실이 좋기를 기원하는 뜻.
⑥ 붓·먹·벼루·책 : 앞으로의 문운(文運)을 비는 뜻
⑦ 활 : 무운을 기원하는 뜻
⑧ 돈 : 부귀와 영화를 기원하는 뜻.

이상의 것을 백반·곽탕(미역국)·푸른나물(미나리 등을 자르지 않고 긴 채로 무친 것)· 백설기·수수팥경단·송편·생실과와 함께 상 위에 차려 놓습니다.
돌 때 남자 아이는 쾌자·복건으로, 여자 아이는 홍치마·색동저고리로 단장을 시켜 상 앞에 앉히는데, 먼저 집은 것을 보고 재주와 부귀를 점치며 한때를 즐깁니다.

(6) 큰 상

회갑이나 혼례와 같은 경사로운 일이 있을 때 그 경사로움을 축하한다는 의미로 주인공에게 차려 드리는 상으로서 가장 풍성하고 화려하게 차려집니다.

(7) 제상(祭床)

이름 그대로 제사를 모실 때 차리는 상을 말하는데, 그 형식은 소상(小祥)·대상(大祥)· 기제사(忌祭祀)·절사(節祀)·천신(薦新)·시제(時祭)·묘제 등 제사의 종류에 따라서, 또한 가문의 정통과 가세 등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제사음식 장만하기〕

일반 음식도 마찬가지이지만 특히 제사음식은 정성을 들여 정갈하게 장만해 온 것이 우리의 풍습입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화려한 색과 심한 냄새(특히 비린내)는 금기로 여겨 왔으며, 같은 종류의 음식을 짝을 맞추지 않는다고 해서 홀수로 만들어 왔습니다.

① 메 : 제상에 올리는 밥을 말하는데 젯메 또는 멧밥이라고도 합니다. 제사 모시기 직전에 흰쌀만으로 새로 지어 뜨거운 밥을 담아 올립니다.
② 탕 : 삼탕(三湯)으로 할 경우에는 소탕(육류를 넣지 않고 두부·다시마·무우 등으로 끓인 탕)·육탕(육류를 넣고 끓인 것)·어탕(생선류를 넣고 끓인 것)을 쓰고, 오탕으로 할 경우에는 삼탕에다 봉탕·잡탕을 더합니다.
③ 적 : 소적·육적·어적의 삼적으로 하거나 여기에다 봉적·채소적을 더해 오적으로 합니다.
④ 나물 : 고사리·도라지·고비·버섯 등과 계절에 따라 나는 야채를 볶아서 씁니다.
⑤ 침채(沈菜) : 동치미와 같이 색이 없는 것을 씁니다.
⑥ 청장 : 양념을 하지 않은 맑은 장을 씁니다.
⑦ 청밀(淸蜜) : 꿀이나 조청을 씁니다.
⑧ 편 : 백편·꿀떡 등을 많이 씁니다. .
⑨ 포 : 북어포·대구포·문어포·오징어포·육포 등을 씁니다.
⑩ 숙과 : 유과류·강정류·다식류를 쓰되, 붉은 것을 피합니다.
⑪ 당속류(糖屬類) : 옥춘·오화당·원당·빙당·매화당·각당 등.
⑫ 다식 : 송화다식·흑임자다식·녹말다식 등.
⑬ 정과 : 연근·생강·유자 등으로 장만합니다.
⑭ 과일 : 사과·배·감·밤 등의 생실과와 대추·곶감 등의 숙실과를 장만하되 복숭아는 금기로 되어 있습니다.
⑮ 제조(祭酒)와 갱수: 제조로는 청주를 많이 씁니다. 갱수는 숭늉을 말하는데, 맑고 뜨겁지 않은 것을 올립니다. 이밖에 시접(수저와 대접)·모사(茅砂) ·지방(紙榜)·향로·촛대 등을 준비합니다.




〔전통적인 진설법 예(양위의 경우)〕

① 제상의 진설법은 가가례(家家禮)라 할 만큼 지방에 따라, 또 가풍에 따라 달랐으나 현재는 많이 간소화되었습니다.
② 단위(單位)인 경우에는 잔을 하나 놓고 그 좌측에 메, 우측에 국을 놓았습니다.
③ 제상의 맨 앞줄에는 과일을 괴어서 조율시이(棗栗枾梨) 또는 홍동백서(紅東白西)의 순으로 놓았습니다.
④ 지방 앞줄에는 시접·메·국을 놓고 그다음부터 적·탕·채·과의 순으로 놓았습니다.
⑤ 좌포우혜(左포右醯)라 해서 포는 좌측, 식혜는 우측에 놓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