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65세 이상을 노인이라고 합니. 우리나라는 산업화와 의학의 발달에 의해 사망률이 저하되어 평균 수명이 연장되면서, 노인인구층이 급증하고 있으며 2050년에는 전체 인구의 약 37%가 노인인구일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인구구조와 노령화지수 변동 추이 (단위:
천명) ]
연도 |
1975(%) |
1980(%) |
1990(%) |
2000(%) |
2010(%) |
2020(%) |
2030(%) |
총인구 |
35,280
(100.0) |
38,124
(100.0) |
42,870
(100.0) |
47,870
(100.0) |
48,988
(100.0) |
49,325
(100.0) |
48,634
(100.0) |
0∼14세 |
13,614
(25.7) |
12,951
(34.0) |
10,974
(25.6) |
9,911
(21.2) |
7,900
(16.1) |
6,118
(13.4) |
5,525
(11.4) |
15∼64세 |
204493
(69.3) |
23,717
(62.2) |
29,701
(69.3) |
33,701
(71.7) |
35,610
(72.7) |
35,506
(72.0) |
31,298
(64.4) |
65세 이상 |
1,217
(5.0) |
1.456
(3.8) |
2,195
(5.1) |
3,394
(7.2) |
53,56
(10.9) |
7.701
(15.6) |
11,810
(24.3) |
총부양비 |
72.5 |
60.7 |
44.3 |
39.5 |
37.2 |
38.9 |
55.4 |
유년부양비 |
66.6 |
54.6 |
36.9 |
29.4 |
22.2 |
17.2 |
17.7 |
노년부양비 |
6.0 |
6.1 |
7.4 |
10.1 |
15.0 |
21.7 |
37.7 |
노령화지수 |
8.9 |
11.2 |
20.0 |
34.3 |
67.7 |
125.9 |
213.8 |
[출처 : 2006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청
]
|
한국 (`55-60) |
한국`70) |
한국`95) |
일본(`91) |
스웨덴(`90) |
미국(`89) |
필리핀(`89) |
남 |
51.1 |
59.8 |
69.5 |
76.1 |
74.8 |
71.8 |
62.5 |
여 |
53.7 |
66.7 |
77.4 |
82.1 |
80.4 |
78.6 |
66.1 |
차이 |
2.6 |
6.9 |
7.9 |
6.0 |
5.6 |
6.8 |
3.6 |
[한국과 외국의 평균 수명 비교 (세)] |